study/backend9 [TIL] 13 엔티티 매핑 @Entity : jpa를 사용하여 테이블과 매핑할 클래스에 붙이는 어노테이션. 특이사항 1. 기본생성자가 필수다. 2. final class, enum, interface, inner class 에는 사용할 수 없다. 3. 저장할 필드에 final 을 사용하면 안 된다. @Table : 엔티티와 매핑할 테이블을 지정한다. 생략하게되면 엔티티 이름을 테이블 이름으로 사용한다. ex) @Entity @Table(name="MEMBER") public class Member { DDL : Data Definition Language로,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는 일련의 sql 명령이다. 그 종류에는 create, alter, drop, truncate 가 있다. DDL 생성기능 : @Column(nam.. 2023. 6. 26. [TIL]12 ResponseEntity ResponseEntity는 공식에서 이렇게 설명한다. Extension of HttpEntity that adds an HttpStatusCode status code. 말 그대로 해석해보자면 HttpStatusCode 상태 코드를 추가하는 HttpEntity의 확장이라는 소리다. 이때 HttpEntity란 무엇이냐!! HttpEntity : header와 body로 구성된 HTTP요청, 혹은 응답엔티티를 표현한다. 보면 ResponseEntity는 HttpEntity를 상속받았음을 알 수 있다. HttpStatusCode : HTTP 상태코드의 열겨형이다. (enum) 인터넷을 하다보면 가끔 404 에러를 본 적이 있을텐데, 이런 http 상태에 대한 코드들이 열겨되어있는 enum이 HttpStatu.. 2023. 6. 25. [TIL]11 JPA - 영속성 엔티티 매니저는 엔티티를 저장하고 , 수정하고, 삭제하고, 조회하는 등 엔티티와 관련된 모든일을 처리한다. 이런 엔티티 매니저를 만드는것을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 (공장) 이라고 말한다. 이때 주의점은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는 생성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므로, 딱 한번만 생성하고 이를 서로 다른 스레드 간 공유한다. (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사용해도 안전하다!) 하지만 엔티티 매니저는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들어오면 동시성 문제가 생기므로, 스레드간 공유는 절대 안 된다!! 영속성 콘테스트 (persist context)란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 이라고 할 수 있다. 엔티티의 생명주기는 1. 비영속 2. 영속 3. 준영속 4. 삭제 로 존재하는데, 해당 상태는 모두 엔티티 매니저를 사용하여 변경 가능하다!.. 2023. 6. 23. [TIL] 10 H2 db 설치하기 1. http://www.h2database.com/html/download-archive.html Archive Downloads www.h2database.com 에서 1.4.200 다운로드~~ 압축을 풀고 터미널을 켜서 해당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한다~ 그리고 h2폴더에서 ./bin/h2.sh을 입력하여 shell을 실행한다. 2. 그러면 다음과 같이 보인다. 여기서 주의점~~ 기존에 적혀있던 url은 지우고 jdbc:h2:~/test 로 연결한다.( 비밀번호 입력없이 그냥 들어가면 됨) 이후에 연결할때는 기존의 jdbc:h2:tcp..... 로 입력하여 들어간다. ** 만약 오류가 날 경우 기존의 user의 test.mv.db를 삭제하고 cat >> test.mv.db 명령어를 입력하여 임의로 .. 2023. 6. 22. 이전 1 2 3 다음